페인트통 버리는법, 수성·유성 페인트 종류별 처리 방법 2가지



셀프 인테리어에 도전했다가 애매하게 남은 페인트 때문에 곤란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신가요? 버리자니 어떻게 버려야 할지 막막하고, 창고에 쌓아두자니 자리만 차지하는 페인트통. 잘못 버렸다가는 과태료 폭탄을 맞을 수도 있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덜컥 겁이 나기도 합니다. 페인트통 하나 버리는 게 뭐 그리 어렵냐고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페인트통 버리는 법을 제대로 알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페인트통, 이렇게 버리면 과태료 걱정 끝

  • 남은 페인트는 신문지나 헝겊에 흡수시키거나 굳혀서 일반쓰레기로 배출합니다.
  • 페인트통은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재질에 따라 캔류나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합니다.
  • 양이 많은 폐페인트는 불연성 쓰레기 봉투에 담거나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남은 페인트 양에 따른 처리 방법

셀프 인테리어 후 남은 페인트, 양에 따라 처리 방법이 달라집니다. 소량인지 대량인지에 따라 올바른 폐기 방법을 선택해야 환경도 보호하고 불필요한 과태료도 피할 수 있습니다.



소량의 남은 페인트 처리법

아주 적은 양의 페인트가 남았다면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남은 페인트를 신문지나 사용하지 않는 헝겊, 옷가지 등에 넓게 펴 발라 흡수시킨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완전히 말려주세요. 바싹 마른 페인트 묻은 신문지나 헝겊은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면 됩니다. 이때, 페인트통 내부에 페인트가 거의 남지 않도록 깨끗하게 닦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용물을 비운 페인트 깡통이나 플라스틱 통은 재질에 맞게 캔류나 플라스틱으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대량의 남은 페인트 처리법

남은 페인트의 양이 많아 신문지나 헝겊으로 처리하기 어렵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페인트 굳히기’입니다. 페인트 뚜껑을 열어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어 내용물을 완전히 굳힙니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지만, 페인트가 딱딱하게 굳으면 통째로 불연성 쓰레기 봉투(마대)에 담아 배출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페인트 경화제’나 ‘페인트 하드너’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제품들을 남은 페인트에 섞어주면 화학 반응을 통해 빠르게 페인트를 굳힐 수 있어 편리합니다. 굳힌 페인트는 마찬가지로 불연성 쓰레기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합니다.



수성 페인트와 유성 페인트, 버리는 법이 다를까?

페인트는 크게 수성과 유성으로 나뉩니다. 두 페인트는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버리는 방법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처리 원칙은 동일합니다. 바로, 액체 상태 그대로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수성 페인트 버리기

수성 페인트는 물이 주성분이라 유성 페인트에 비해 비교적 취급이 용이합니다. 소량 남았을 경우, 앞서 설명한 대로 신문지나 헝겊에 흡수시켜 말린 후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양이 많다면 페인트 굳히기나 경화제를 사용하여 고체 형태로 만들어 불연성 쓰레기 봉투에 배출해야 합니다.



유성 페인트 버리기

유성 페인트는 신나(thinner)와 같은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유성 페인트 역시 액체 상태로 하수구나 토양에 버리는 것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므로 절대 금물입니다. 수성 페인트와 마찬가지로 신문지나 헝겊을 이용해 내용물을 흡수시키거나, 페인트 경화제를 사용하여 완전히 굳힌 후 처리해야 합니다. 처리 과정에서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페인트통 종류별 분리배출 가이드

페인트 내용물을 모두 처리했다면 이제 빈 통을 버릴 차례입니다. 페인트통은 재질에 따라 분리배출 방법이 달라집니다.

페인트통 종류 분리배출 방법
고철 캔 (깡통) 내부의 페인트를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한 뒤 캔류(고철)로 분리배출합니다.
플라스틱 통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뒤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합니다.

만약 페인트통 내부를 깨끗하게 비우기 어렵다면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불연성 쓰레기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합니다. 페인트통에 붙어있는 라벨이나 스티커는 제거하여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불연성 쓰레기 봉투, 어디서 구매하고 어떻게 버릴까?

페인트와 같이 불에 타지 않는 폐기물은 ‘불연성 쓰레기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합니다. 이 봉투는 지자체에 따라 ‘특수 규격 마대’, ‘불연성 마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구매처 및 가격

불연성 쓰레기 봉투는 보통 지역 내 마트, 편의점, 철물점이나 주민센터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곳에서 판매하는 것은 아니므로 방문 전 판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은 지역 및 용량(10L, 20L, 50L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천 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배출 방법

불연성 쓰레기 봉투는 일반 종량제 봉투와 마찬가지로 지정된 배출 장소에 버리면 됩니다.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의 경우 정해진 분리수거장에, 단독 주택은 집 앞에 배출하면 수거 업체에서 처리해 갑니다. 정확한 배출 장소나 요일은 거주 지역의 구청이나 시청,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량 폐페인트 처리,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셀프 인테리어를 넘어 리모델링 공사 등으로 인해 대량의 폐페인트가 발생했다면 생활 폐기물이 아닌 건축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이 직접 처리하기 어려우므로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폐기물 처리 업체 이용 방법

인터넷 검색을 통해 지역 내 폐기물 처리 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업체에 연락하여 폐페인트의 종류와 양을 알리고 처리 비용을 문의하면 됩니다. 처리 비용은 폐기물의 양, 종류, 수거 지역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러 업체에 견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허가받은 전문 업체를 이용하면 법규에 따라 안전하고 적법하게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어 과태료나 벌금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페인트 롤러, 붓 등 부자재 버리는 법

페인팅 작업에 사용했던 롤러, 붓, 페인트 트레이 등도 올바르게 버려야 합니다. 그냥 버리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도구를 낭비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 재사용할 경우: 수성 페인트를 사용했다면 미지근한 물과 중성세제를 이용해 깨끗하게 세척한 후 잘 말려 보관합니다. 유성 페인트는 전용 세척액(신나)을 사용해야 합니다.
  • 버릴 경우: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붓이나 롤러는 남은 페인트를 최대한 닦아낸 후, 신문지 등으로 감싸 종량제 봉투에 버립니다. 페인트가 많이 묻어 있다면 완전히 말려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페인트 작업 시 바닥이나 가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했던 비닐이나 신문지는 페인트가 묻었다면 일반쓰레기로, 묻지 않았다면 재질에 맞게 분리배출합니다.

잘못된 페인트 폐기, 환경과 지갑에 미치는 영향

남은 페인트를 하수구나 변기, 땅에 그냥 버리는 행위는 심각한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유발합니다. 페인트에 포함된 화학물질과 중금속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결국 우리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지정되지 않은 방법으로 폐기물을 무단 투기할 경우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경보호는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올바른 페인트통 버리기를 통해 우리 모두의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데 동참해 주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